‘평화통일특별도’ 설치를 위한 ‘평화통일 국제포럼’이 의정부시에서 개최됐다.

5일 오후 장암 아일랜드캐슬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 평화포럼은 이데올로기적 분단 경험을 공유한 독일, 베트남 등 5개국 석학이 참가해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개회사에서 “오늘 포럼에서 각국 석학들의 소중한 생각은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다. 경기도 분도는 지난 1992년 김영삼 대통령 후보 공약사항이다. 경기북부지역은 생활권, 경제권 등 지역 특성이 경기남부와 확연히 달라 생활과 접경지역에 적합한 평화통일특별도 설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독일 하노버 라이프니츠대 ‘다니엘라 뮌켈’ 교수는 ‘통일 전후 동·서독 교류협력’ 사례로 통일 후 과거사 정리 등을 발표했다.

베트남 국립 하노이대 ‘쩐딥타잉’ 교수는 ‘베트남 통일 프로세스와 변화’를 주제로 1970~1975년 ‘정치와 군사작전을 통한 베트남 통일’, 1975~1980년 ‘정치적 협상과 협의에 의한 통일’, 1980~1986년 ‘정치·경제적 강화를 통한 통일’, 1986~1992년 ‘정치, 경제 쇄신을 통한 통일’ 등 단계별 장기적 통일 프로세스를 강조했다.

중국 칭화대 ‘자오커진’ 교수는 “중국 공공 외교는 ‘중국 중심주의’에 함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아울러 중국이 국제 무대로 부상함에 따라 세계의 다른 국가들은 중국에 대한 선호에 관계 없이 중국과 잘 지내는 법을 배워야 한다. 중국의 공공 외교의 역할은 앞으로도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니혼대 ‘사도모토 테츠’ 교수는 “한일 관계는 마음 편히 왕래할 수 있는 한국과는 달리 북한은 핵과 미시일, 납치 등을 행한 국가로서 친근감이 없다.

한반도 남북 간 교류 전망으로 남북은 중국과 달리 동일민족으로서 향후 접경지역에서 시대에 앞선 교류와 경제협력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통일될 전망이 보인다면 한국의 북부 38도선에 가까운 도시가 다른 지역보다 이른 교류가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 조지메이슨대 ‘롤랜드 윌슨’ 교수는 ‘평화로운 공존과 통합을 향한 교류 및 체계적인 접촉’을 위해 ‘갈등 분석과 해결 관점’을 강조했다.

윌슨 교수는 “남북한은 70년간 분단돼 왔다. 이로 인해 남북 모두 상대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전무한 상태다. 게다가 국가 간 교류나 일회성 행사를 제외하곤 양측 국민이 접촉할 수 있는 일관되고 지속적인 기회가 없었다. 

양측이 평화로운 공존과 통합을 향한 지속 가능한 길은 ‘대사관 및 문화 교류 활동, 학술회의 및 워크숍 개최, 교육과 문화 교류, 사람 중심의 순수 예술과 스포츠 외교 등을 제안한다.

특히 집단 이주민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 국내외 탈북민들의 다양한 이슈와 프레임에 중요한 역할과 사회 간 교량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후 진행된 종합토론회는 장인봉 신한대 교수가 ‘평화통일특별도 설치 논리와 추진전략’이란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평화통일특별도 설치 의의, 행정구역 개편, 경기북부 규제 실태, 경기 남북부 불균형, 평화통일특별도 설치 예상 효과, 추진 체계와 로드맵 등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토론회는 심익섭 동국대 명예교수, 이주희 한국생활자치연구원 부원장, 이대희 광운대 교수, 허훈 대진대 교수, 김정겸 의정부시의회 자치행정위원장이 진행했다.

경기도의회 김원기 부의장은 ‘평화통일특별도 설치 촉구 결의문’에서 “경기북부는 접경지라는 특수성과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됐다”면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발전의 추진체로서 평화통일특별도 설치를 강력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부의장은 “국회는 경기북부지역 민의를 대변해 발의된 ‘평화통일특별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을 조속히 가결하라”면서 “중앙정부와 경기도는 평화통일특별도 설치를 위해 정책과 제반사항 마련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오후 2시부터 시작된 평화포럼에는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시·도의원, 공무원, 시민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시의원 전원은 불참했다.

▲ '평화통일 국제포럼'을 주최한 안병용 의정부시장
▲ 주제 발표자로 나선 다니엘라 뮌켈 교수

저작권자 © 의정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